제목   암치료 보장 확대 불구 소외되는 환자 있다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15-03-05
 이메일   help@sagakmall.co.kr  조회수   2675

 

암치료 보장 확대 불구 소외되는 환자 있다

삼중음성유방암 환자 표적치료제 보험 적용 안돼 ‘절망’

정부와 환자 ‘동상이몽’---최적 치료 환경 구축 시급 

 

지난 2013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은 소외되어 있던 환자에게 치료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한편 몇몇 질환의 열악한 치료 환경에 대한 관심을 이끄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환영을 받았다.  

특히 4대 중증질환의 하나인 국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암의 경우에는 많은 환자가 혜택을 받은 바 있다. 하지만 해를 더해 가며 보장성의 범위가 넓어지는데 반해 정책의 사각에서 고립되는 환자도 늘어나고 있다. 

실제 유방암 환자 황모씨(48)는 얼마전 뉴스를 보다 아연실색했다. 유방암 환자를 위한 유방재건술 보험소식을 듣고서다. 이르면 올해 4월부터 유방재건술에 건강보험이 적용되어 환자는 비용의 50%만 부담하게 된다고 한다. 물론 유방암환자 입장에서 반길 일이지만 황씨의 경우에는 반가운 마음보다 안타까운 마음이 앞섰다. 유방암중에서도 치료가 어렵다는 ‘삼중음성유방암’을 앓고 있는 황씨에게 필요한 것은 유방재건이 아닌 ‘살기위한 치료제’이기 때문이다.  

다른 유방암환자는 표적치료제를 ‘골라서’ 쓸 정도로 치료 환경이 좋다는데 황씨는 치료옵션이 부족한 것은 물론 유일한 표적치료제가 있으나 이를 사용하는 것은‘신이내린 환자’가 아니고서야 불가능 하다.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약값에 대한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황씨는 “같은 질환인데 이리도 혜택이 다르냐”라며 가슴을 쳤다.

  

착한 암이라 불리는 유방암중 복병 ‘삼중음성유방암’ 

삼중음성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와 HER2 수용체가 음성인 유방암이다. 다른 유방암에 비해 재발 및 전이위험이 높은 난치성4 유방암이다. 따라서 치료가 까다롭고 5년내에 대부분 사망할 확률이 높다. 삼중음성유방암의 치료가 어려운 이유는 유방암은 종양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치료법이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호르몬수용체가 양성인 경우 항호르몬요법을, HER2 수용체가 양성인 경우에는 HER2 표적 치료를 시행하면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하지만 삼중음성유방암은 이와 같은 ‘맞춤치료’가 불가능하다. 

실제 삼중음성유방암환자의 생존율은 타 유방암환자의 생존율보다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립암센터에서 발표한 <2012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유방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은 90%를 상회하였다. 반면 임상에서 보고 된 문헌에 의하면 진단후 5년 이내에 삼중음성유방암환자의 70%가 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같은 암인데도 불구하고 지원혜택 다른 정책? 

지난 3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2014~2018 건강보험 중기 보장성 강화계획’에 따르면 단기가 아닌 중기계획으로 2018년까지 건강보험 보장률을 5.5%p 높이고 7조 4,000억원의 재정을 투입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하지만 정작 치료옵션이 절실한 삼중음성유방암에 대해서는 별다른 지원 방안을 마련해 놓고 있지 않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준 교수는 “삼중음성유방암의 경우 항호르몬요법및 HER2 수용체 표적 치료에 대한 치료반응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현재 세포독성항암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라며 “다른 장기로 전이될 확률도 높고 병의 진행이 빨라 조기에 치료 효과가 높은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치료 옵션이 적고 표적치료제가 있지만 보험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선택 할 수 있는 방안이 극히 제한적” 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정준 교수는 “유방암은 단일질환이라 볼 수 없을 정도로 치료 접근법이 다양하며 국제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의 치료에 신생혈관억제제를 포함한 항암치료를 하나의 선택 사항으로 권고 하고 있다.”라며 “보장성강화에 있어서는 환자 삶의 질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살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최적의 치료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우선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국민행복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장성 강화 확대라는 ‘한걸음 더’가 그 혜택에서 소외되어 있는 다른 환자를 한걸음 뒤처지게 만들기도 한다. 그러므로 보장성 강화정책이 정부와 환자의 ‘동상이몽’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두운 곳을 돌아보는 넓은 시야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출처 -  의학신문 이상만 기자 

 

  
  자동등록 방지 코드 :

작성자     비밀번호      
이전글 이전글 혹시 나도 유방암? 단순 유방통과 ...   2015-03-04   2719   
다음글 다음글 올해 암환자 치료요법 건강보험 혜택...   2015-03-06   2361   

삭제 수정 리스트